함께 살기/공공

돈, 은행에 넣어두기 싨은데.. 공공은행은 가능한가?

2012. 4. 21. 14:07

  월급을 받고,

  집 주인이 전세를 올리지 않으니,

  어느새 통장에 천만원 정도의 잔고가 있다. 으악!


  이렇게 큰 돈을 지들 배불리는 데만 굴려먹는 은행에 넣어 놓을 수는 없는데...

  하는 생각에 공공은행, 신용협동조합에 대한 내용을 찾아 봤다.


  <한미은행>이던 시절 만든 통장이 저절로 <시티은행>으로 바뀌었는데, 여긴 아니다 싶어,

  일단 <농협>으로 옮겼다. 하지만 여기도 뭐 좋은 은행은 아닌 것 같고.


  <신협>에 넣으면 되나?

  그냥 만들어 버릴 수도 있나??


  일단 여기까지.



****

  통화

    -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순간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돈이 발생한다. 은행은 (이자 대신) 수수료를 챙긴다. - 시뇨리지

    - 요컨대, 돈은 사람들이 은행에 빚지고 있는 부채이다.

    - 통화라는 것은 원래 경제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국, 노스다코다 주립은행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출에 집중

  - 노스다코다주의 모든 공공회계, 공적기관의 재무출납 등이 모두 이 주립은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 소상공인이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지역주민에게 낮은 이자로 대출

  - 지역 학생 학자금 대출


  독일, 국영은행 슈파르카센 Sparkassen : 고숙련 제조업에 자금 지원

    - 기술은 뛰어난 중견 기업이 자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을 때 구제금융 지원

    - 벌어들이는 것 이상으로 돈을 쓰거나 외상으로 물건을 구입해 높은 이자를 부담하는 것을 용납치 않음. 연이율 11%


  신용협동조합

    - 공동유대를 가진 사람들끼리 금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조직한 금융 협동조합

    - 지역·직업·종교 등 상호유대를 가진 개인이나 단체간의 협동조직을 기반으로 하여 자금의 조성과 이용을 도모하는 비영리 금융기관

    - 한국은 주로 교회·학교·직장 등의 공동유대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신용조합의 조직을 보게 되었다. 1964년 4월 55개의 신용협동조합이 모여 한국신용협동조합연합회를 결성하였고, 같은 해 5월 세계신용조합연합회(1971년 1월 국제신용협동조합협의회 World Council of Credit Union:WCCU로 개칭)에 가입하였다.

    - 신용협동조합법(1972.8.17. 법률 2338호)의 실시로 마을금고가 설치되어 설립과 출자·대출한도·이자율·예탁금·상환준비금 등에 대한 규제를 받게 되었다. 신용협동조합은 예·적금의 수납, 대출 등의 신용사업, 복지사업, 조합원을 위한 공제사업,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위한 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일본 나고야 근교, 쌀본위제 지역화폐, '오무스비'

    - 지폐 한 장 = 유기농 현미 반홉

    - 농사를 시작할 때 농민들에게 지역화폐를 주고, 농민들은 일을 도와주러 오는 사람들에게 답례로 주기도 하고, 인근 협력상점에서 이 지역화폐를 사용.





**참조

  도서출판 부키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ookiemb&logNo=150121792469&categoryNo=170&viewDate=&currentPage=1&listtype=0

  인드라망과 생명평화 - 김종철, 우애의 경제를 위하여 5  http://blog.daum.net/drshin3765/277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501382.html


**관련도서

  토머스 게이건,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부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