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www.artezine.kr/coverstory/coverstory.jsp?articleIdx=960
정연희, 교육정책에서 창의성을 검색하다
'교육'은 한국사회에서 끊임없이 논란을 야기해 온 주요 관심사이다. 높은 교육열로 볼 때 전국민이 교육정책의 전문가라 할 만하다. 그런데 오랜 세월을 교육현장과 교육정책의 민감한 변화과정 속에 살아왔음에도 머리 속에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큰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것은 왜일까? 통상 교육을 논할 때 그 시대가 지향하는 미래적 가치를 담은 인재상과 교육목표가 먼저 그려지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순서이다. 그래야만 학생, 학부모들이 교육정책의 변화 속에서도 예측가능하고 일관된 기조와 철학을 이해하고 체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정책입안자들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제시하여야 하는 것은 전국민적 이해와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미래의 바람직한 '인재상'이며 이것이 제시되어야만 비로소 각종 교육정책이나 관련 사업들의 실현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초점의 이동, 과학에서 예술로
'창의성'이 현 시대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미래적 가치 중 하나라는 것은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인구를 비롯한 생산요소의 양적인 성장만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우리의 미래는 이제 우리 국민의 창의적인 능력과 불굴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교육에서 '창의성'이 교육정책의 핵심으로 다루어진 것은 근래의 일이다. 그러면 교육과학기술부 사이트에서 '창의성'을 검색해 보자. '창의인재육성과'가 교과부 조직도에서 나타나 있다. 그러나 막상 담당 업무를 들여다보니 주로 '과학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것만으로 짐작할 때 우리 교육 당국은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이를 뒷받침 하는 철학이나 정당성의 근거를 아직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또한 창의성 관련 최근의 두 가지 자료가 검색된다. 2009년 12월의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과 2010년 7월 교과부•문화부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방안'이 그것이다. 그동안 '교육정책' 하면 '대입전형'과 '교육과정' 등이 뉴스를 도배해 온 현실을 감안할 때 이것은 커다란 변화이며 이제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한편, '예술교육' 활성화가 교육정책에서 중심 이슈가 된 것도 건국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교과부는 예술교육을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핵심활동으로 규정하였다.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안'이 발표되기 직전인 지난 5월말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가 '21세기 중심에 선 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기조연설자인 루트-번스타인 부부는 "지구 온난화, 기아, 빈곤 등의 21세기 도전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상력과 창의성을 교육해야 하며, 그 열쇠를 전통적 전문성 교육이나 훈련이 아닌 예술이 가지고 있음"을 여러 사례를 통해 입증해 보였다. 아마도 우리 사회가 드디어 예술교육을 새로이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돌이켜 보건대, 지식 위주의 한줄 세우기 교육이 그동안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이끌어 왔으나 이제 그 과열된 경쟁에 의해 대다수의 아이들이 조기에 인생의 패배자로 전락해 버리는 우를 우리 교육이 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멈추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교육을 통해 함께 지향해야 할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지 못하고 그저 교육이 입신양명의 도구 정도로 전락해 버린 탓이 아닐까? 그러나 이제 창의인재육성과 예술교육이 만나 교육정책을 이루게 됨으로써 그 틈새를 비집고 예술중점학교, 예술선도학교 등 예술을 통해 교육 혁신을 도모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새로운 기회가 만들어졌다.
창의교육의 시작은 예술교육을 통해
바야흐로 전 세계는 지금 앞 다투어 미래 세대를 위한 창의성 육성 정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이 1999년 '우리 미래의 모든 것. 창의, 문화 그리고 교육'이라는 정책비전 보고서 발표에 이어 2002년 창의적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 사업을 추진하였고 2006년에는 폴 로버츠의 '국가 미래 정책 보고서: 청소년의 창의성 배양'을 채택하여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혁신, 및 교육 개혁의 실제적인 방안들을 실천해 가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사례이다.
우리나라도 더 늦지 않게 창의‧인성교육정책을 마련하여 국민들에게 공표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게다가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를 통해 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공유하게 된 것 또한 큰 행운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창의‧인성교육정책이 예술교육과 만나 한국의 미래를 밝게 열고 우리 아이들이 행복해 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글_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장 정연희
정연희, 교육정책에서 창의성을 검색하다
'교육'은 한국사회에서 끊임없이 논란을 야기해 온 주요 관심사이다. 높은 교육열로 볼 때 전국민이 교육정책의 전문가라 할 만하다. 그런데 오랜 세월을 교육현장과 교육정책의 민감한 변화과정 속에 살아왔음에도 머리 속에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큰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것은 왜일까? 통상 교육을 논할 때 그 시대가 지향하는 미래적 가치를 담은 인재상과 교육목표가 먼저 그려지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순서이다. 그래야만 학생, 학부모들이 교육정책의 변화 속에서도 예측가능하고 일관된 기조와 철학을 이해하고 체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정책입안자들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제시하여야 하는 것은 전국민적 이해와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미래의 바람직한 '인재상'이며 이것이 제시되어야만 비로소 각종 교육정책이나 관련 사업들의 실현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초점의 이동, 과학에서 예술로
'창의성'이 현 시대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미래적 가치 중 하나라는 것은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인구를 비롯한 생산요소의 양적인 성장만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우리의 미래는 이제 우리 국민의 창의적인 능력과 불굴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 교육에서 '창의성'이 교육정책의 핵심으로 다루어진 것은 근래의 일이다. 그러면 교육과학기술부 사이트에서 '창의성'을 검색해 보자. '창의인재육성과'가 교과부 조직도에서 나타나 있다. 그러나 막상 담당 업무를 들여다보니 주로 '과학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것만으로 짐작할 때 우리 교육 당국은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지만 이를 뒷받침 하는 철학이나 정당성의 근거를 아직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또한 창의성 관련 최근의 두 가지 자료가 검색된다. 2009년 12월의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과 2010년 7월 교과부•문화부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방안'이 그것이다. 그동안 '교육정책' 하면 '대입전형'과 '교육과정' 등이 뉴스를 도배해 온 현실을 감안할 때 이것은 커다란 변화이며 이제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한편, '예술교육' 활성화가 교육정책에서 중심 이슈가 된 것도 건국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교과부는 예술교육을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핵심활동으로 규정하였다.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안'이 발표되기 직전인 지난 5월말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가 '21세기 중심에 선 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기조연설자인 루트-번스타인 부부는 "지구 온난화, 기아, 빈곤 등의 21세기 도전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상력과 창의성을 교육해야 하며, 그 열쇠를 전통적 전문성 교육이나 훈련이 아닌 예술이 가지고 있음"을 여러 사례를 통해 입증해 보였다. 아마도 우리 사회가 드디어 예술교육을 새로이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돌이켜 보건대, 지식 위주의 한줄 세우기 교육이 그동안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이끌어 왔으나 이제 그 과열된 경쟁에 의해 대다수의 아이들이 조기에 인생의 패배자로 전락해 버리는 우를 우리 교육이 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멈추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교육을 통해 함께 지향해야 할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지 못하고 그저 교육이 입신양명의 도구 정도로 전락해 버린 탓이 아닐까? 그러나 이제 창의인재육성과 예술교육이 만나 교육정책을 이루게 됨으로써 그 틈새를 비집고 예술중점학교, 예술선도학교 등 예술을 통해 교육 혁신을 도모하고자 하는 크고 작은 새로운 기회가 만들어졌다.
창의교육의 시작은 예술교육을 통해
바야흐로 전 세계는 지금 앞 다투어 미래 세대를 위한 창의성 육성 정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영국이 1999년 '우리 미래의 모든 것. 창의, 문화 그리고 교육'이라는 정책비전 보고서 발표에 이어 2002년 창의적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 사업을 추진하였고 2006년에는 폴 로버츠의 '국가 미래 정책 보고서: 청소년의 창의성 배양'을 채택하여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혁신, 및 교육 개혁의 실제적인 방안들을 실천해 가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사례이다.
우리나라도 더 늦지 않게 창의‧인성교육정책을 마련하여 국민들에게 공표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게다가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를 통해 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공유하게 된 것 또한 큰 행운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창의‧인성교육정책이 예술교육과 만나 한국의 미래를 밝게 열고 우리 아이들이 행복해 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글_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장 정연희
'공부 > 생애, 인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개 교원노조 협의체 출범 기사 (2010.04) (0) | 2011.10.04 |
---|---|
수월성 교육 (0) | 2010.10.22 |
시월 시비일, 나근형교육감과 곽노현교육감 (0) | 2010.10.12 |
인화회 仁和會 라... (0) | 2010.07.26 |
다섯개의 성격모델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