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문화단체의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 기획과 마케팅
- 지역사회조사 및 요구조사
- 사례 발표 및 토론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문화예술교육에서 기획자가 지켜야 할 것들
/안이영노
- 문화예술이 갖는 전인주의적 특성
이치에 따르는 기획자의 역할
1. 교육기회를 요청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파악하는 것
2. 자신이 가진 것을 돌아보는 일 : 내가 보유한 자원 - 강사, 예술단체, 후원, 동아리, 인프라 공간
3. 교육내용 프로그래밍
4. 홍보와 초기 실천
5. 커리큘럼 확정, 강사섭외, 수강자 모집, 예습, 정보지원, 교육후 성장 관리
6. 교육장 세팅 : 현장운영의 주는 강사 모시기가 아니라 수강자에 대한 고객응대 서비스다.
7. 유대감 지속, 정보 제공, 동아리공간 마련, 후속 프로그램 제공
8. 평가, 개선사항 - 피드백
9. 교육활동 기록, 자료 수집
기획자의 자세
1.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피교육자'나 '수강자'로 바라보는 낡은 시각을 버리자. 문화수용자이자 문화실천자.
2. 교육참여자들의 마음 밑바닥에는 전인적인 존재로서 문화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누리고 싶은 욕구가 있음을 잊지말자.
3. 다각적인 교육방법론의 적용을 통해서만 지적 성장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4. 자신이 공공성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보이고자 하는 '위선', 자신이 늘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오선'을 경계하자.
5. 구체적인 교육내용이 없다 하더라도 좋은 교육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자부심을 고취하자.
6. 교육과정보다는 교육 후 참여활동, 실천계획 등 가치와 전망을 미리 제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7. 문화기획은 근본적으로 사람들 사이에 행복을 증진하는 과정이다.
8. 일차적으로 교육참여자를 위한 매개자가 된 후에야, 교육수행자를 위한 매개자가 될 수 있다.
9. 교육참여자가 정서적으로 풍요롭고 정신적으로 충만한 것을 얻고 있다고 느끼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존재가 되어간다는 성취감을 불러일으키도록 하자
에듀케이터의 역할
1. (타깃팅) 교육기회를 요청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파악하고 확인한다.
2. (프로그래밍) 내가 ㅂ유한 자원이 허락하는 한에서 핵심이 분명한 교육내용을 개발한다.
3. (홍보) 교육장에서 학습기회와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벌어지는 것을 즉각적, 효과적으로 알려야 한다.
4. (과정관리) 커리큘럼 확정, 강사섭외, 실라버스 제출, 수강자 모집, 예습, 정보지원, 교육 후 성장관리
5. (현장운영) 쾌적한 교육장으로 현장을 세팅하고, 교육현장에서 응대서비스를 진행하여 교육몰입도를 높이도록 지원한다.
6. (사후 지원) 교육 후에도 동아리와 유대감이 지속되도록 정보제공, 공간제공, 후속 프로그램 제공 등을 추진한다.
7. (평가와 피드백) 무엇을 주었는가, 목표대로 주었는가, 그들은 바라는 대로 얻었는가? 평가하고 개선한다.
8. (연구) 교육활동을 정보화하고 강사와 함께 후속 프로그램, 지속 프로그램, 신규 프로그램, 다른 수혜자 대상의 동일 프로그램을 미리 개발한다.
'공부 > 시대, 예술,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잰 코언-크루즈, 지역 예술 운동, 미메시스, 2008 (읽고 있는 중) (0) | 2012.02.16 |
---|---|
17가지 키워드로 쉽게 배우는 실용음악이론 (0) | 2012.01.07 |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0) | 2010.09.28 |
문화조례를 만든다고?? (0) | 2010.08.20 |
재정 위기 맞은 인천시 (0) | 201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