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2013년 문광부 업무계획에 “지역별 동호회 활동 거점으로 복합 문화커뮤니티센터 조성”이라는 내용이 있다. 생활권 단위에 지역 유휴공간 및 시설을 지역사회 문화동호회 활동의 거점 공간인 복합문화센터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문광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2014년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후 확대하려고 계획하고 있고, 예산을 일반회계로 편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양혜원, 지역밀착형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운영 및 인력 활용
1. 목표와 기능
○ 사업 목표 : 생활문화예술 참여 기회 제공 및 지역공동체 회복
○ 사업 대상 : 지역주민
○ 사업 내용 :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의 조성 및 운영
○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의 주요 기능
- 지역주민의 생활문화예술(문화예술체험 및 창작활동) 공간
- (넓은 의미의)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지역주민의 표현과 소통 공간
○ 사업 특성 :
- 문화민주주의, 자율성, 공공성, 자생성(지속성)
- 체험 및 창작 활동
- 유효공간 리모델링, 기존 문화시설 활용
- 리모델링 비용, 시설 및 기자재 비용, 운영비/사업비 지원
- 민간중심의 Bottom-up approach
- 지역주민 중심의 자율적 운영
- 전담인력 외 인력 활용
2.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조성 모델
○ 신규 건립이 아닌 유휴공간 및 기존시설 리모델링
○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유형
- 거점형 : 생활문화예술의 거점 플랫폼 (시군구 단위, 500~3,000m2)
- 지역밀착형(생활형) : 생활문화예술활동 공간 (읍면동 단위, 100~300m2)
동아리 연습, 발표활동 및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주민자율형
지속성과 자생성
민관자율형 유도
○ 지원내용
구분 |
거점형 |
생활형 |
공간조성(리모델링) 비용 |
국비 지방비 매칭(개소당 15억) |
국고 지방비 매칭 (개소당 1~3억) |
시설 및 기자재 구입비용 |
국고 부담(2~10억) |
국고 부담(개소당 1~2억) |
운영비용 |
국고 지방비 분담 |
지자체 및 민간 부담, 연차별 차감지원 |
교육컨설팅 비용 |
국고 부담 |
국고 부담 |
○ 운영조직 및 인력 모델
- 거점형 : 최소 4인 이상의 상근인력 배치
- 생활권 문화커뮤니티공간 : 필요할 경우 시설유지관리자 1인을 계약직으로 배치
생활권 문화커뮤니티 공간에는 요구 시 문화예술교육사 또는 문화여가사 등 전문인력 파견 지원
* 거점형-지역밀착형
* 사람 - 누구?
'공부 > 장소, 공간, 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현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0) | 2018.10.09 |
---|---|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_김찬동 (0) | 2018.06.29 |
행정안전부, 자치분권 로드맵(2017) (0) | 2018.06.28 |
인천발전연구원, 새로운 도시 새로운 인천 (0) | 2010.04.19 |
<인천인>, 장봉도 습지가 위험하다 (0) | 2010.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