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25건

  1. 2020.03.05 인천문화재단, 마을문화계획하기
  2. 2020.01.23 도시재생 관련·연계 사업
  3. 2020.01.13 인천 더불어마을 현황
카테고리 없음2020. 3. 5. 18:16

2013 지역공동체문화계획 * 청학동 마을공동체_마을과 이웃 / 가좌동_희망을 만드는 마을 사람들

마을문화계획하기

연구기관: 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이상환,

2013 지역공동체 문화계획 해석하기

 

일상의 모임을 통해 공동체를 설계하고 경험하는 작은 실천입니다.

 

일상을 문화로 계획하고, 함께 할 무엇을 이야기합니다.

 : 맵핑된 커뮤니티 자원들을 인적자원과 함께 종합하여 객관화된 지표를 만든다.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장소와 커뮤니티를 문화적으로 재정립하고, 이를 운영하는 실천적 모델을 계획

 

연구와 실천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통합된 솔루션입니다.

 

청학동 마을공동체_마을과 이웃

 : 커뮤니티스쿨, 지역 내 유휴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전환하여 사용성을 강화하는 방법과 커뮤니티비지니스 모델을 통해 행정조직화하는 방법을 계획

 

가좌마을_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 '가좌마을 신나는 공간' 계획. 이를 운영하기 위한 인적자원을 맵핑하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공간으로 사용성을 맵핑

 

일반적으로 커뮤니티디자인은 지역의 자원을 기반한 스토리텔링으로 커뮤니티 인프라스트럭쳐를 구축하는데 반해 이번 프로젝트는 커뮤니티액티비티에 집중. 

 

 

인천문화재단,

주민이 만드는 마을계획

 

일상문화를 공동체 문화로 설계하는 경험

 

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마을이 어떻게 세대를 넘어 살아있을 수 있게 할 것인가...

 

마을이 사라진 도시에서 행정체계로 남은 공동체가 자발적 진화를 준비한다.

2013 지역공동체 문화계획은 주민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지역의 장소/사람/문화 자원을 커뮤니티디자인으로 해석해내는 과정. 도시지역의 공동체문화를 만드는 선행 계획. 

 

Stage 1

커뮤니티디자인 프로세스

 

커뮤니티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커뮤니티디자인은 '의사소통'의 일상적 '실천' 방식

 

커뮤니티디자인의 일차적인 목표는 지역활성화에 있다. - 지역공동체의 물질적인 기반인 산업과 경제의 활성화가 동방되어야.

 

이를 위해서 지역공동체의 역사·문화·전통을 발견해내고 해석하는 학습공동체(PMC)로 시작하고, 커뮤니티 인프라스트럭쳐(Community Infrastructure)의 확보와 이를 통해 지역의 공동자원을 개발하고 유통하는 공동체경영(Community Business 활동을 진행한다.

 

커뮤니티디자인의 첫 번째 단계는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커뮤니티 맵핑을 통해 문화적 재생산이 가능한 지역자원 조사와 교육, 참여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스쿨 + 커뮤니티 디자인 + 커뮤니티 비지니스 →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디자인

 

 

 

그것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Community School  -  마을공동체 학교  /  희망마을 네트워크

Community Design  -  마을복합문화센터  /  가좌마을신나는공간

Community Business  - 청학상회  /  신공상회

 

 

2013 지역공동체 문화계획 프로세스

 

<청학동>

 1. 공동체 기술 : 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2. 바디스토밍 : 지역이미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3. 관계 만들기 : 골목길 사이사이 프로젝트 활용하기

 4. 커뮤니티 맵핑 : 노변취락 마을 여행하기

 5. 스토리 채집 : 필드워크 카드 게임하기

 6. 커뮤니티 비즈니스 : 마을공동체학교에서 마을가게 운영 모델 만들기

 7. 행정의 기술 : 마을공동체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8. 마을파티 : 아리랑 곡선 / 희망 별자리 만들기

 

<가좌동>

 1. 공동체 기술 : 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2. 인적자원 맵핑 : 마을공동체 자원 연결하기

 3. 장소자원 맵핑 : 마을공동체 장소 만들기

 

 

 

Posted by
요즈음/지역 일2020. 1. 23. 17:52

가로환경정비사업 ?, 가로환경개선사업?

마을주차장 조성사업

홍예문로 전선지중화 사업

전동 도로개선사업

공동주택관리지원사업

빈집 정비사업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지원(인천시 건축계획과)

 

마을주택관리소(주거취약계층 대상 소규모 생활 수선/주거재생 공동체)

빈집 정비사업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국토교통부)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904777

건설비용 및 임대주택 건설·관리·운영 등은 정부 지원을 받은 사업시행자(한국토지주택공사)가 부담하게 되며, 건설 사업비 중 일정부분(10%이상)은 해당 지자체에서 분담한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될 경우, 공공임대주택 건설 사업과 함께 대상지 주변의 낙후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주변지역 정비계획*(이하 “마을계획”) 수립도 지원받을 수 있다

 

 

****

 

지자체요청 지중화사업 - 전동 홍예문로 일원 지중화 사업

출처 : http://www.media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90

2019년 1월 선정, 시:구:한전·통신사 = 25:25:50

전동소방서-동인천동행정복지센터-인일여고정문-화평운교사거리(0.58㎞)

 

 

도로안전 개선사업(국토교통부)

 

2020 공동주택관리지원사업(중구 건축과 공동주택팀, 760-7513)

신청기한: 2020.02.28.(목) 18:00

 

출처 : 중구청 공지사항 http://www.icjg.go.kr/krcm01b/231952?curPage=1

중구청 고시/공고(2119.12.19) http://www.icjg.go.kr/krcm03c

 

고시공고 - 인천광역시 중구청

“인천광역시중구 종합감사와 관련하여 시민의 입장에서 바라는 감사의 방향 및 건의사항과 위법․부당하게 업무를 처리하거나 금품․향응을 요구하는 공무원 또는 칭찬하고 싶은 공무원이 있으시면 제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적극행정 과정에서 발생한 절차상 하자 등에 대한 불이익 처분은 면책코자 하오니 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 신청․상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개인정보 수집 운영에 동의 합니다.

www.icjg.go.kr

- <인천광역시 중구 공동주택 관리 지원조례>에 근거, 공동주택단지의 환경개선 및 시설물보수 등 공동주택 관리업무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 지원

 

○ 지원대상 : 인천광역시 중구에 소재한 사용검사일로부터 10년이 지난 공동주택(다세대주택·연립주택은 포함, 임대주택·기숙사는 제외)

지원범위 : 

  - 주 도로 및 보안등의 유지보수

  - 하수도의 보수 및 준설

  - 어린이 놀이터 및 실외 운동시설의 유지보수

  - 경로당의 유지보수(·개축은 제외한다)

  - 조경 및 주차 시설의 보수·개선

  - 담장 또는 통행로 개방에 따른 시시티비(CCTV)의 설치 및 보수

  - 그 밖에 구청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공용시설물의 유지 보수

  ※ 같은 사업으로 최근 5년 이내에 지원받은 경우 및 타 법령에 따른 지원받은 경우는 지원 제외.

  ※ 시시티비(CCTV) 설치 및 보수 사업 지원할 경우, CCTV200만화소 기준으로 지원

  ※ 주차 시설의 보수·개선 사업을 지원할 경우, 주차장 LED조명 설치는 지원에서 제외.

  ※ 한 단지에서 1개 사업을 초과하여 지원받을 수 없으며, 최근 다수 지원받은 단지는 지원에서 제외될 수 있음.

 

 공동주택 관리 지원금 지급기준 : 총사업비별 차등 지원

총 사업비

지원비율( % )

1천만원 이하

총사업비의 90%

1천만원 초과 ~ 2천만원 이하

9백만원 + (총사업비-1천만원)* 70%

2천만원 초과 ~ 3천만원 이하

16백만원 + (총사업비-2천만원)* 50%

3천만원 초과 ~ 4천만원 이하

21백만원 + (총사업비-3천만원)* 30%

4천만원 초과 ~ 5천만원 이하

24백만원 + (총사업비-4천만원)* 10%

5천만원 초과

총사업비의 50%

 

 

 

 - 지원규모 : 1천만원 이하 총사업비의 90%, 5천만원 초과 총사업비의 50%

 

 

빈집 정비사업 지원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666

- 농촌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유해한 주택 건축물 정비

 - 2013,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시 조례는 없고, 미추홀구가 2013년에, 계양구가 2016년에 조례 제정

 - 빈집 및 소규무 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에 앞서 2017년 11월부터 빈집 실태조사 시작 2019년 8월 완료 예정, 정비계획 수립중

 - 양호 - 보통 - 불량 - 철거대상

 

 > 매입 활용 : (시,구) 정비기반시설, 공동이용시설, 임대주택 (LH, 인천도시공사) 임대주택

 > 철거·개량 활용 : 철거 후 나대지, 주차장, 소공원, 텃밭 등으로 3~5년 이상 활용. 개량 후 마을주택관리소, 주민공동이용시설, 일자리 창출공간, 임대주택 등 활용

 

[인천광역시.20191119] 보도자료-인천시, 전국 최초 빈집 활용한 마을재생 본격시동.hwp
1.62MB

Posted by
요즈음/지역 일2020. 1. 13. 11:58

인천 더불어마을 현황

출처 : 인천in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인터넷신문(http://www.incheonin.com)

 

2021년(5개소)

중구 유동 ‘월남촌 사랑마을’(2만425㎡)

▲남동구 도림동 ‘남촌 도림동 남측 세일빌라 주변’(4만3,032㎡)

▲부평구 갈산동 ‘부광 북초교 주변’(6만㎡)

▲부평구 십정2동 ’십정6‘(5만㎡)

▲계양구 작전동 ’작전대로 이루길‘(5만300㎡)

 

2021년 희망지(8개소)

▲미추홀구 문학동 376-1 일대(4만9,280㎡)

▲미추홀구 주안5동 18-150 일대(4만6,647㎡)

▲연수구 연수동 471-12 일대 비류마을(2만1,000㎡)

▲남동구 만수4동 53-67 일대 대토단지(4만3,032㎡)

▲남동구 구월4동 349 일대 모래내마을(5만3,979㎡)

▲부평구 부개동 324-21 일대 마분리마을(4만7,770㎡)

▲부평구 부평동 760-362 일대 삼릉 음악인마을(2만8,800㎡)

▲서구 가좌동 310 일대 가재울마을(5만300㎡)

출처 : 인천in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인터넷신문(http://www.incheonin.com)

 

2020년(6개소)

동구 송미로 구역(2,960㎡)

미추홀구 용현5 구역(4만3,565㎡)

미추홀구 용일사거리 남동측 구역(4만9,000㎡)

▲남동구 간석3동 돌산마루 구역(6만3,500㎡)

▲계양구 작전 구역(4만4,770㎡)

▲서구 신현 원마을 구역(5만5,000㎡)

 

2020년 희망지(7개소)

▲중구 유동 ‘월남촌 사랑마을’(2만425㎡)

▲동구 송림동 ‘활력 송송, 송림마을’(3만7,140㎡) - 송림동 58-1, 송림로터리 동구청 쪽

▲미추홀구 주안동 ‘미추6’(4만9,963㎡)

▲남동구 도림동 ‘남촌 도림동 남측 세일빌라 주변’(4만3,032㎡)

▲부평구 갈산동 ‘부광 북초교 주변’(6만㎡)

▲부평구 십정2동 ’십정6‘(5만㎡)

▲계양구 작전동 ’작전대로 이루길‘(5만300㎡)



#2019년(5개소)

▲중구 전동 웃터골(31,200㎡) - 

▲동구 금창동 쇠뿔고개 - 

▲미추홀구 도화역 북측

▲서구 가좌3동

▲강화군 온수마을

 

#2018년(4개소)

▲동구 송희마을 - 휴먼시아, 송림고가 아래

▲동구 주꾸미마을 - 만석우체국 인근

▲미추홀구 누나동네 - 

▲부평구 하하골마을() - 백운역~부평공원

 

++ 원도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 (2019.02.25~)

 : 인천시 저층주거지관리사업지 내 주민 커뮤니티 공간(마을센터)을 운영하고 있는 주민협의회 공동체

 - 박문마을주민협의회

 - 거북이마을주민협의회

 - 영성두레마을협동조합

 - 염전골마을센터 운영위원회

 - 막부마을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 해바라기마을주민협의회

 

Post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