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25건

  1. 2019.11.11 비영리민간단체
  2. 2019.10.01 퇴비화
  3. 2019.09.27 문화도시
카테고리 없음2019. 11. 11. 12:03

임의단체(비법인) - 자산 1억 이하, 연 예산 1억 이하

 1) 개인으로 보는 단체 - 소득세법

 2) 법인으로 보는 단체 - 법인세법, 

  - 외형적으로는 법인처럼 보이지만 법인설립등기를 하지 않아 법인격이없고

  - 구성원들에게 수익을 분배하지 않는 단체 - 법인세법 적용

  - 고유번호증과 단체명의 통장 발급 가능

  - 기부금 모금을 할 수 있지만, 수익사업이나 기부금영수증 발행은 할 수 없다.

  - 실적이나 재산, 회원 수 등을 갖추지 못한 모임, 단체들이 법인 설립 전에 많이 취하는 형태

 

비영리민단단체

  -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 근거한 단체, 임의단체, 비영리법인 모두 등록 가능

  - 사업의 수혜자가 불특정 다수이며, 상시 구성원 수가 100인 이상이고 구성원 간 이익 분배가 없고, 1년 이상 공익활동 실적이 있어야 등록 가능

  - 각종 국가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기부금대상민간단체 신청을 할 수 있다

 

(민법상)비영리법인

 1) 사단법인 - 자산 10억 이하, 연 예산 10억 이하. 회비 수입으로 운영, 총회가 최고 의결기관

  - 일정 목적을 위하여 결함한 사람의 단체를 실체로 하는 법인 

  - 학술, 종교, 자선, 기예, 사교 기타 영리 아닌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

  - 법원에 설립등기를 하며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지정기부금단체 등록이 가능하다

 

 2) 재단법인 - 자산 10억 이상, 연 예산 10억 이상

  - 일정 목적이 바쳐진 재산을 실체로 이루고 있는 법인

  - 학술, 종교, 자선, 기예, 사교 기타 영리 아닌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사단법인과 동일)

 

임의단체(법인으로 보는 단체) 설립

 

출처: https://totalog.net/2409

 

  - 까다로운 심사도 없고, 회원수 제한도 없고, 관할 세무서에 신고만 하면 됨

  - 단체명의 통장 개설 가능

  - 고유번호 발급

  - 세금계산서발행 불가, 증빙을 위한 간이영수증 발행은 가능하나 정부보조사업 또는 납세증빙으로는 불가

  - 수익행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업태와 종목에 대한 영업신고, 허가 등에 관한 수익사업 개시신고를 세무당국에 해서 사업자등록증으로 교체해야 함.

 

<서류>

  - 승인신청서: 단체명, 대표자명, 사업장 소재지

  - 대표자 등의 선임(변경)신청서: 

  - 대표자 또는 관리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정관 또는 조직과 운영에 관한 사항

  - 회원명단

  - 임대차계약서(사업장을 임차한 경우에만, 주민등록상 주소를 사용해도 무방)

  - 단체명의의 직인 및 대표자 신분증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 편람

 

 

Posted by
공부/생태정치경제2019. 10. 1. 12:04

오창균, 음식물을 이용한 퇴비 만들기

http://www.egardening.kr/news/articleView.html?idxno=3096

 

[행복한텃밭] 음식물을 이용한 퇴비 만들기 - 월간가드닝

[월간가드닝=2017년 3월호] 우수(雨水, 2월18일)를 지나면서 봄 기운이 하늘에서 내려와 흙에 닿았다. 뭉친 근육이 풀리듯이 날숨과 들숨을 반복하면서, 겨울내내 움츠렸던 흙의 호흡도 느껴진다. 경칩(驚蟄, 3월...

www.egardening.kr

박기홍, 음식물 쓰레기로 퇴비 막들기

https://naturepeoplehealth.tistory.com/46

 

음식물 쓰레기로 퇴비 만들기

텃밭강사 하늘나무 박기홍 입니다. 오늘 수업 시간에 알려드린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에 대해 간략히 정리 해드리겠습니다. 1. 부패와 발효는 비슷한 과정입니다. 다만 그것이 인간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면 발효라..

naturepeoplehealth.tistory.com

 

 

 
Posted by

권순석, 문화도시는 문화예술을 넘어선다

예술경영 vol.432 (2019.09.26.)

 

 

문화도시 :

  지역문화진흥법 제4장에 근거한 법정도시

  1년 예비사업 수행 후 최대 200억 사업비 지원

 

  2018년 예비선정 10개 : 경기 부천, 강원 원주, 충남 천안, 충북 청주, 전북 남원, 경북 포항, 대구, 경남 김해, 부산 영도, 제주 서귀포

  2019년 25개 지자체 신청

 

  지역에서의 삶, 일과 삶의 균형과 자신을 위한 시간 투자, 혼자가 아닌 함께하는 삶

  가치 있는 삶에 대한 기준이 바로 서야 진정한 삶의 전환을 이룰 수 있다.

 

문화도시 정책의

비전 :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및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 확산

4대 목표

  1. 지역사회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2. 지역 고유의 문화가치 증진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

  3. 문화의 창의성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구축

  4. 문화적 도시재생과 접목한 사회혁신 제고

 

문화도시 사업의 의미와 과제

- 그 과정에서의 분권

- 예술지원, 여가문화, 문화복지 등 문화 담론들이 도시 차원의 의제로 상정, 논의

- 문화자치

Post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