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혜원 외, 201702, 2016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 평가 연구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은 2012년 주5일 수업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매주 토요일 아동ᐧ청소년이 가족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문화예술소양을 함양하고 또래 간, 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조성을 목표로 시작됨 ○ 동 사업은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에 아동․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아동․청소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족’으로까지 대상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현대 사회의 가족문제 해결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며, 또한 지역의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예술교육단체들이 지역의 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장을 마련하는 등의 장점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그러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유형 및 전달체계가 다원화되어 있고, 각 사업유형간 관계 또는 역할 배분 등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의 효과적․통합적 추진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음 ○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접 운영사업의 경우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이 개발․시행되고 있으나 사업의 방향성이나 사업별 핵심 개념 정립은 다소 미흡하며, 차별적 브랜딩 전략의 미흡으로 인한 홍보 부족 및 국민 인식 저조 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추진현황 진단 및 사업 분석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각 사업별 추진전략, 그리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또한 동 사업에 대한 효과적 홍보 및 대내외적 국민 인식 확산 도모를 위해 사업전략 또한 함께 제시하고자 함
|
정책목표 : 문화예술소양 함양, 여가문화 조성
사업의 차별적 정체성과 가치․목표의 공유, 구조적․체계적 정합성 미흡
이슈
예술교육인가 여가활동인가
결과(기능) 중심인가 과정(철학) 중심인가
일방적 교육인가 능동적 배움인가
진흥원 기획사업과 지역연계 사업과의 관계 설정
비전
: 예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경험하는 배움의 광장,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로 생각하고 꿈꾸고 표현하라
목표
학교에서는 할 수 없었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예술 향유 범위/수준의 확장을 통한 예술의 가치 체감과 예술적 통찰력의 체득
▪창작을 통한 자기 표현과 꿈의 모색
▪타인과의 교감 및 공동체의식 함양
핵심전략
▪예술특화교육으로서의 토요문화예술교육
- 예술적 수월성의 확보, 예술가와의 결합을 통한 예술적 작업방식과 통찰력 체험
▪과정(철학)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 참여자 주도성 확대 : 교육(education)에서 배움(learning)으로
- 장르기반 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으로
- 삶과 유리된 예술교육에서 삶에 밀착된 예술교육으로 (생활의제, 지역의제와 연계)
▪혁신적․실험적 프로그램의 발굴과 보급
- 프로젝트적 성격의 강화
▪연계․공유 프로그램의 확대
추진과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정체성의 공유와 확산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통합워크숍 추진
▪ 중앙단위 기획사업과 지역연계 사업간 역할․기능 재조정
▪ 연계․공유 프로그램 확대
▪ 기획사업 구조 개편
수요에 부응하는 홍보전략 수립 및 운영개선
▪통합홍보체계 구축
▪운영방식의 유연성 제고
▪인센티브 시스템 마련
▪공간 및 기자재 지원 확대
토요문화학교사업 통합지원체계 구축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네트워크 허브로서의 리더십 확보
▪연구기능 강화(프로그램 개발 랩(lab)실 설치)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구축
▪기획관리자 및 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공부 > 문화예술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문화예술교육센터 조성 및 운영방안 연구 (0) | 2018.06.23 |
---|---|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5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모니터링 결과 자료집에서 (0) | 2018.06.08 |
201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프로그램 유형 분석 연구 (0) | 2018.06.08 |
김보성. 2005, 문화예술교육의 기획과 평가 (0) | 2018.01.03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영향 모음집 (0) | 201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