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문화예술교육2018. 1. 3. 17:59

2005 부산문화예술교육시범사업

문화예술교육 기획전문가 과정


문화예술교육의 기획과 평가

김보성(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대학장)


1. 글머리에 - '문예진흥'과 '문예교육'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며


“누구나 스스로 예술가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 사람은 예술가이다.” --예술인간

높은 예술심미안을 지닌 예술가들이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해 수용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할 수 있다면 전장할 일이지만...

문화와 예술을 자신의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들여가며 문화예술 행위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아마추어 예술활동'의 주체로서의 일반 시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생활문화가 활성화됨으로써 문화마을이 가꿔지는 것이고 문화마을의 주체인 향수자가 개발되는 것이다. 


2.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첫 단계 - 지역 네트워크와 교육 사례의 발굴


양질의 인력이 지역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는 결정적 요소이다.

주체 형성

네트워크의 성과가 미진한 이유는 어떤 과업을위한 협력관계인가가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특성화된 운영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전문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잘 훈련된 전문인력이 있어야 지역네트워크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담보될 수 있다.

지역의 정체성을 가지고 오랜 기간 지역활동을 꾸준히 펴온 개인이나 단체의 존재 유무가 풀뿌리 네트워크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기본조건이 된다. 이들은 직접적인 예술창조자들일 수도 있으나 대부문 '문화매개자'로서 지역문화의 양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다.


3.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두 번째 단계 - 문화예술교육 교과의 개발


기전문화대학은,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범용형 교육체제(Universal-Access System) 환경이 도래한 현실 속에서 '문화적 리터러시'를 매개로 하는 문화교육을 앞장서서 실천하는 비학교 교육기관이다. '어떻게'라는 방법론보다는 '무엇을, 왜' 가르치는가에 방점을 둔다.

교과 개발의 다른 이름 - 공모지원 사업

교과 개발의 또 다른 이름 - Program Provider 를 찾아서 : 좋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활동가(그룹)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또는 변화를 주어 접목이 가능한 교육프로그램들을 만들 수 있다. P.P는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매우 신뢰도 높은 협력자이다.

지역기관별 특성화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

안성의 달팽이 학교는 


4.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세 번째 단계 - 해외사례 연구 및 수집

“교육은 예술이다” - 영국의 슈타이너 학교

“교육실험실” - 러시아의 톨스토이 학교

“교육은 체험이다” - 일본의 키노쿠니 학교

“사랑과 치유의 교육공동체” - 태국의 무반덱 학교

“오래된 미래교육” - 일본의 자유학원


5. 문화예술교육 기획과 '정책 연구 및 의제 개발'


6. 관련분야 전문인력 양성을위한 교육체계 마련의 시급성


7. 문화예술교육의 평가

-1. 사전평가 : 심사

-2. 사후평가 : 설문, 모니터링


Post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