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봄에 개관한 부평아트센터의 모토?가 '모두를 위한 문화'라고 들었다. 이 얘기를 듣고 '이거 너무 막연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이 용어가 독일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시행하고 있는 모델이란다.
저소득층에게 고급문화를 무료로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등으로 현재 독일 경제의 중심도시라고 할 수 있는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모두를 위한 문화’는 2010년 1월부터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독일 연방 공화국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수도인 슈투트가르트 정부와 시민재단이 공동 운영하고 있다. 문화생활을 누리기 힘든 저소득층에게 고급문화의 장(미술관, 음악회 등)에 무료입장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엘리트 집단이 향유하는 문화를 모든 시민들이 한자리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시정부차원에서 문화의 벽을 허무는 역할을 한다.
는데, 요것도 좀 밋밋하네.
인천인에 기고한 박상문의 소개를 더 들어보면,
이 프로젝트에서는 “문화는 사치가 아니다. 문화는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문화, 예술, 스포츠를 포함하는 넓은 문화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2010 프로젝트 ‘모두를 위한 문화’ 성립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문화와 사회복지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슈투트가르트 시민재단 ‘Round Table’이라는 정기적인 토론장을 만들어서 재단이 가지고 있는 안건을 가지고 해당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을 한다. 슈투트가르트 시민재단은 2001년에 시장 및 140명의 재단후원자들의 후원으로 설립되었으며 예술, 문화, 청소년, 복지, 교육, 학문, 연구, 건강, 스포츠, 자연, 환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재단은 슈투트가르트와 주변지역의 공동체마인드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재단중의 하나이다. 이 ‘모두를 위한 문화’는 2008년 Round Table에서 사회통합에 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안건으로 시정부의 일방적인 제도변화가 아닌 시민재단에서 나온 안건이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본 프로젝트에 대한 반감이 덜하였다.
이 모델은 200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시행된 프로그램을 슈투트가르트에서 벤치마킹한 것이다. 2003년도에 비엔나에서 ‘예술과 문화에 대한 배고픔’이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로 시작되어, “모든 사람이 문화를 누릴 권리가 있다”라는 모토 아래 지금은 오스트리아 전 지역에서 문화운동으로 전개되고 있다. 유럽 도시들의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모델의 역할은 저소득 서민들에게 단순히 문화를 무료로 제공하여, 모든 이들이 한 자리에서 문화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가시적인 역할에서 더 나아가, 문화예술이 하나의 사치와도 같았던 개념을 다르게 변화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모두를 위한 문화’ 프로젝트는 문화향수를 가로막는 장애물을 없애는 활동을 주도하는 것은 시민재단으로, 시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지원자라는데 주목해야한다. 문화복지 개념과 문화민주주의 개념이 일반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노력은 아직 미미하다. 하지만 ‘모두를 위한 문화’ 프로젝트처럼 시민들에 의한 시민을 위한 문화민주주의 정책은 앞으로 국내도시들이 곧 채택해야할 문화복지 정책이 될 것이다.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정책으로 인천시가 선도적으로 벤치마킹하길 바란다. ‘모두를 위한 문화’정책은 인천지역사회를 통합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지만 인천시가 품격 높은 도시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 믿는다.
저소득층에게 고급문화를 무료로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등으로 현재 독일 경제의 중심도시라고 할 수 있는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모두를 위한 문화’는 2010년 1월부터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독일 연방 공화국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수도인 슈투트가르트 정부와 시민재단이 공동 운영하고 있다. 문화생활을 누리기 힘든 저소득층에게 고급문화의 장(미술관, 음악회 등)에 무료입장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다. 엘리트 집단이 향유하는 문화를 모든 시민들이 한자리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시정부차원에서 문화의 벽을 허무는 역할을 한다.
는데, 요것도 좀 밋밋하네.
인천인에 기고한 박상문의 소개를 더 들어보면,
이 프로젝트에서는 “문화는 사치가 아니다. 문화는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문화, 예술, 스포츠를 포함하는 넓은 문화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2010 프로젝트 ‘모두를 위한 문화’ 성립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문화와 사회복지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슈투트가르트 시민재단 ‘Round Table’이라는 정기적인 토론장을 만들어서 재단이 가지고 있는 안건을 가지고 해당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을 한다. 슈투트가르트 시민재단은 2001년에 시장 및 140명의 재단후원자들의 후원으로 설립되었으며 예술, 문화, 청소년, 복지, 교육, 학문, 연구, 건강, 스포츠, 자연, 환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재단은 슈투트가르트와 주변지역의 공동체마인드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재단중의 하나이다. 이 ‘모두를 위한 문화’는 2008년 Round Table에서 사회통합에 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안건으로 시정부의 일방적인 제도변화가 아닌 시민재단에서 나온 안건이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본 프로젝트에 대한 반감이 덜하였다.
이 모델은 200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시행된 프로그램을 슈투트가르트에서 벤치마킹한 것이다. 2003년도에 비엔나에서 ‘예술과 문화에 대한 배고픔’이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로 시작되어, “모든 사람이 문화를 누릴 권리가 있다”라는 모토 아래 지금은 오스트리아 전 지역에서 문화운동으로 전개되고 있다. 유럽 도시들의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모델의 역할은 저소득 서민들에게 단순히 문화를 무료로 제공하여, 모든 이들이 한 자리에서 문화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가시적인 역할에서 더 나아가, 문화예술이 하나의 사치와도 같았던 개념을 다르게 변화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모두를 위한 문화’ 프로젝트는 문화향수를 가로막는 장애물을 없애는 활동을 주도하는 것은 시민재단으로, 시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지원자라는데 주목해야한다. 문화복지 개념과 문화민주주의 개념이 일반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노력은 아직 미미하다. 하지만 ‘모두를 위한 문화’ 프로젝트처럼 시민들에 의한 시민을 위한 문화민주주의 정책은 앞으로 국내도시들이 곧 채택해야할 문화복지 정책이 될 것이다.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 정책으로 인천시가 선도적으로 벤치마킹하길 바란다. ‘모두를 위한 문화’정책은 인천지역사회를 통합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지만 인천시가 품격 높은 도시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 믿는다.
'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각, 감성, 감수성, 감정 (0) | 2011.06.20 |
---|---|
참여예산제 (0) | 2010.06.30 |
두루미, 황새, 백로 (0) | 2010.06.15 |
어처구니없다 (0) | 2010.05.17 |
헌법 제121조, 경자유전 조항 (0) | 201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