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총서기획팀 엮음, 핀란드 교육혁명, 살림터, 2010 中


이윤미(홍익대 교육학과), 핀란드 교육 성공의 역사 - 100년의 숨 고르기, 40년의 내공 쌓기


1. 핀란드 교육 - 40년간의 성공 드라마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중시하고, 남을 이기는 경쟁보다는 함께 학습하는 법을 익히는 교육, 교사와 학교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존중되는 교육, 모두가 높은 수준으로 제대로 된 기회를 누리는 교육

수월성과 평등성을 함께 실현


1960년대 학제, 교육과정, 교사교육, 행정체제 전면 개혁


2. 핀란드는 어떤 나라인가


인구 530만,


사회민주주의적 강령에 근거한 보편교육 이념은 20세기 초부터 등장 : 의무교육안, 참정권, 무상의료, 8시간 노동

1921년 7-12세 의무교육 도입

1939년 기본 사회안전망

2차 세계대전 후 '요람에서 무덤까지' 스칸디나비아형 복지국가 제도화

1960년대 교육개혁 : 종합학교 개혁 - 이전까지는 일반계와 직업계의 '복선제' 시스템, 11세에 대학 진학 여부가 결정


3. 개혁의 내용과 전개과정


종합학교개혁과 학제개편


: 9년(6년+3년 : 초등 및 전기중등 과정까지 동일한 기초교육 제공)의 의무교육


1963년 종합학교개혁 결정

1964년 교원에 대한 기초교육 및 현직교육과 관련한 조치

1966년 후기중등교육 단계의 교육 검토위원회, 고등교육 발전법안

1968년 학교체제법안 통과


어떻게 교사들이 개혁에 대한 의지를 갖게 할 것인가?


교사를 개혁의 주체로


새로운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학교체제를 재구축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의 전문성 존중, 그에 기반하여 변화

1966-1970 종합학교교육과정위원회의 활동을 기초로 국가교육과정 수립


새로운 고용관계에서의 권익을 위한 교원노조의 역할


1970년대 중반 교원교육을 대학에서 실시, 교원들에게 석사학위를 요구

오늘날 교사들의 높은 학력과 전문성은 핀란드 교육의 가장 큰 자랑거리의 하나


교육과정 개편


기존 공민학교의 실제적 교육과정과 문법학교의 학문적 교육과정 통합

이 과정은 5년(1965-1970)에 걸쳐 신중하게 처리

학습자의 심리적, 신체적 발달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 교육 내용에서 문화적 기초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

교육과정 내용 및 수준은 기존 문법학교의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 기초하는 방향으로 정리


1972년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이 모든 학교에서 시행되도록 강제


의무교육 댄계에서 학생들에 대한 수준별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종합학교가 교육과정을 유연화하고 선택교과를 늘리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권고


행정 권한의 지속성과 자율성


1972-1992 핀란드 국가교육청 사무총장 에르키 아호

행정개혁의 방향은 지방 및 학교 자치를 점진적으로 강화하는 방식으로 진행


1990년대 중반 이후 국가교육청은 교과별로 매우 포관적인 목표와 내용 제시, 지역과 학교가 국가공통교육과정에 근거해서 지역사회와 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1990년대 학교현장에 대한 관료주의적 장학감사제도 폐지

2004년 개정 교육과정,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세부화, 지역 및 학교의 자율권 강화, 평가의 중요성 강조.


4. 핀란드 성공의 교훈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기초교육 제공

우수한 교사와 교사교육

지속성 있는 리더십

교육혁신을 가치롭게 여기는 사회적 인식

유연한 책무성

신뢰의 문화


보편 복지와 사회평등을 기본 이념으로 하여 신뢰로운 사회를 만들고 자존감을 높여온 사회 발전 전략


'질보다는 양, 과정보다는 결과, 내실보다는 서열' - 이것이 한국 교육의 자화상







Posted by